본문 바로가기

주식클럽

에코프로비엠

에코프로비엠 에코프로비엠 www.ecoprobm.co.kr 축전지 제조업체

2차전지 : 에코프로비엠, 코스모신소재, 대주전자, 일진->롯데에너지, 솔브레인, 동화기업, 천보, 피엔티

신규 계약 확보로 2027년 생산능력 목표를 2026년 조기 달성할 것 2023. 3. 30

VI가 발동했다. 전일 대비 7.03% 상승 2022. 7. 13

매분기 사상 최대 매출과 이익으로 시장 기대치를 상회하는 호실적이 예상 2022. 7. 12

전기제품 상장기업 브랜드 평판, 1위 LG에너지솔루션, 2위, 삼성SDI, 3위 에코프로비엠 2022. 6. 8

양극재 업체 중 가장 공격적인 투자를 집행하고 있는 업체는 에코프로비엠입니다. 2022. 6. 7

- 에코프로비엠은 2021년 기준 양극재 생산능력(CAPA) 5.9만 톤 -> 26년까지 55만 톤 CAPA 확보

- 국내 배터리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은 20년 기준 26%이나,

- 한국산 4대 핵심소재 14% 불과 / 양극재 26%, 음극재 8%, 분리막 12%, 전해액 9% 점유

- 중국이 4대 핵심소재 50% 상회) / 양극재 50%, 음극재 72%, 분리막 53%, 전해액 74% 점유

- 배터리 중 가장 중요한 소재는 양극재로 배터리 셀 재료비의 52%를 양극재가 차지

- 국내 주요 양극재 생산업체로는 에코프로비엠, 포스코케미칼, 엘앤에프 등

- 국내 양극재 업체들은 니켈이 80%이상 함유된 하이니켈 양극재 개발에 주력

하이망간 양극재로 중국 리튬인산철(LFP) 양극재를 이길 수 있다 2022. 3. 31

에코프로비엠은 하이니켈 양극재문에서 대체 불가능한 생산능력을 지녔다. 2022. 3. 22

- 하이니켈 양극소재 가장 먼저 개발하고 양상화에 성공해 세계 고용량 양극소재 시장을 선도

- 2021년 글로벌 삼원계 배터리 양극재 업체 중 에코프로비엠이 7.5만톤을 생산해 세계 1위

2022. 3. 8 네옴우크 슈퍼 [57%]

에코프로비엠, SK-LG 배터리전쟁 종료로 매출 리스크 해소-SK 2021.04.12 목표가 22만원

[상장기업 분석] 에코프로비엠, 하이니켈 양극재 개발 성과…"세계

- 하이니켈NCM(니켈, 코발트, 망간), NCA(니켈, 코발트, 알루미늄) 양극제를 동시에 생산 ->국내1위

- 하이니켈 양극제 기술은 국가핵심기술이며, SK이노베이션이 채택

- 하이니켈 양극제 시장은 올해부터 매년 33% 성장해 2025년까지 275만톤까지 늘어날 전망

- 올 하반기 삼성SDI에 니켈 88%의 하이니켈 NCA양극제 공급 예정

- SKI 배터리 투자 속도에 따라 미국과 유럽시장 진출을 계획

2021. 5. 14 네옴우크 슈퍼 [233%]

[더벨]삼성SDI, 에코프로이엠에 480억 추가 투자 지분 40%, 2021-03-05

에코프로비엠, 삼성SDI-SK이노 업고 日 스미토모 3년내 넘는다

에코프로, 폐배터리 재활용 신사업 6월 시동 2021. 2. 8

LG-에코프로, 폐배터리 '맞손'…양극재 시장 지각변동 예고 2021. 2. 4

에코프로비엠, 가장 기대되는 'EV배터리'기업-이베스트證 2021.01.13 -> 목표주가 27만1천원

2차전지 : LG화학, SK이노베이션, 삼성SDI

1)양극할 : 에코프로비엠, 엘앤에프, 코스모신소재

2)음극할 : 포스코케미칼, 대주전자재료, 한솔케미칼 2')동박 : SKC, 일진머티리얼즈

3)전해질 : 후성, 솔브레인 3')전고체 : 동화기업, 씨아이에스, 한농화성, 테이팩스, 이수화학

4)첨가제 : 천보, 나노신소재

5)장 비 : 피엔티, 대보마그네틱

'주식클럽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에스와이  (0) 2023.04.03
동국알앤에스  (0) 2023.04.03
원익피앤이  (0) 2023.04.02
트루윈  (0) 2023.04.02
파수  (0) 2023.04.02